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성요건론에 대하여

by 쾅 이슈 2024. 5. 30.

 

구성요건론에 대하여

구성요건론은 범죄 성립의 기초가 되는 이론 중 하나다. 기본적으로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구성요건, 위법성, 책임 3가지가 성립되어야 한다. 그 중 구성요건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구성 요건의 일반이론,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등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구성요건론

1. 일반이론

구성요건의 일반이론은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 법률에서 명확히 규정한 요건들을 충족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특히 범죄를 구성하는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주관적 요소는 범죄를 저지르려는 행위자의 의도나 목적을 의미한다. 객관적 요소는 행위 자체와 그로 인해 발생한 결과를 의미한다.

 

살인죄의 경우 피해자를 살해하려는 의도가 주관적 요소에 해당하고, 실제로 살해하는 행위가 객관적 요소이다. 구성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해당 행위는 범죄로 인정되지 않는다. 구성요건의 일반이론은 형법 체계의 일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고, 자의적인 법 집행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2. 결과반가치 / 행위반가치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는 범죄의 반사회성을 평가하는 두 가지 관점이다.

1. 결과반가치: 결과반가치는 범죄 행위로 인해 발생한 결과의 불법성을 의미한다.

이는 행위가 초래한 실제 피해나 손해를 중점으로 평가한다. 예를 들어 살인죄의 경우 타인의 생명을 빼앗는 결과 자체가 불법적이라는 관점이다.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고 볼 수 있다.

2. 행위반가치: 행위반가치는 행위 자체의 불법성을 의미한다. 이는 행위자가 법률을 위반한 행동을 했다는 사실 자체를 중점으로 평가한다. 예를 들어 타인을 살해하려는 의도와 그 행위 과정이 불법적이라는 관점이다. 이는 행위에 초점을 맞춘다.

 

3. 구성요건적 고의

구성요건적 고의는 범죄를 저지르려는 의도를 의미한다. 이는 범죄 성립의 주관적 요소이다. 행위자가 자신의 행위가 법에 위반됨을 알고도 이를 저지르려는 의사를 말한다. 고의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첫째, 직접고의는 행위자가 특정 결과를 직접 의도하고 그 결과를 초래하려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A가 B를 살해하려는 의도로 총을 쏘아 B를 죽인 경우이다.

 

둘째, 미필적 고의는 행위자가 결과 발생 가능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용인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히면서 B가 사망할 가능성을 알고도 이를 용인한 경우이다.

 

4.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인과관계는 어떤 행위가 특정 결과를 초래했는지 여부를 가리는 것이다. 쉽게 말해, "이 행위 때문에 그 결과가 발생했는가?"를 따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A가 B를 때려서 B가 다쳤다면, A의 폭행과 B의 부상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 인과관계가 없다면, 행위와 결과를 연결지을 수 없으므로 범죄가 성립되지 않는다.

객관적 귀속은 단순히 결과가 발생한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위자가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즉, 그 결과가 행위자의 책임으로 귀속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가 B를 살짝 밀었는데 B가 우연히 넘어져 큰 부상을 당했다면, A의 행동이 결과를 초래했더라도 그 결과가 A의 책임으로 귀속되기는 어렵습니다. 객관적 귀속은 결과가 예측 가능하고, 사회적으로 행위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경우에 성립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형법에서 범죄 성립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인과관계가 있어야 하고, 그 결과가 행위자의 책임으로 귀속될 수 있어야 범죄가 성립합니다.

 

5. 구성요건의 착오(사실의 착오)에 대하여

구성요건의 착오는 행위자가 범죄를 저지를 때 범죄를 구성하는 사실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행위자가 자신이 한 행위가 법률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범죄 성립 여부와 행위자의 책임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구성요건의 착오는 사실의 착오와 위법성의 착오로 구분됩니다.

 

 사실의 착오는 행위자가 범죄 행위를 구성하는 사실을 잘못 이해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가 B를 살인하려는 의도로 총을 발포했지만, 실제로는 B가 아닌 다른 사람이 사망한 경우입니다. 위법성의 착오는 행위자가 자신의 행위가 법률에 위반된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 경우를 말합니다. 

구성요건의 착오는 법적 판단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행위자의 의도와 이해를 고려하여 범죄의 성립 여부와 처벌의 정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심리적 요소를 고려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결론

구성요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구성요건론은 형법에서 범죄가 성립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건들을 충족해야 하는데, 이를 구성요건이라고 합니다. 구성요건론은 이러한 요건들을 명확히 규정하여 범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합니다.